JAVA (JDK, JRE, JavaSE) 용어 정리
·
창고/기초지식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윈도우 환경변수, 시스템변수와 사용자변수의 차이
·
창고/기초지식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nested exception is 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No converter found for return value of type: class java.util.ArrayList
·
창고/버그버그 👀
프론트쪽에서 ajax로 contoller쪽에 요청 시 json형태로 리턴해줄때(ResponseBody)사용 시  spring - 트러블 슈팅 - Controller에서 객체 반환 시 json으로 변환이 되지 않는 경우 nested exception is 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No converter found for return value of type: class java.util.ArrayList  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  해결방법으로는  0. 객체를 json형태로 변환 할 수 있는 jackson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(jackson-databind) cohttp://m.fasterxml.jackson.core jackson-core 2.9..
[ORACLE] SQL 오류 : ORA-00947
·
창고/버그버그 👀
개요 : 기존에 사용중인 테이블에서 컬럼을 추가해야하는 일이 생겨서 백업테이블 생성 후 기존 테이블을 지웠다가 컬럼을 추가한 상태로 테이블을 재생성한 후 백업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기존 테이블에 옮기려고 하였으나 오류가 발생했다. 원인 : INSERT 하려고하는 대상의 컬럼의 수와 INSERT하려는 값의 항목의 수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 해결 : A[백업테이블]에 있는 데이터를 B[컬럼을 추가한 기존테이블]에 INSERT를 하려고 할때 A에는 없는 컬럼이 B에는 존재하기때문에 해당 컬럼을 A에 추가해주어 컬럼 수를 동일하게 맞춰줌으로써 해결 가능하다. ALTER TABLE[컬럼수가 부족한 테이블] ADD ( [해당컬럼] VARCHAR2(30) );
🍪 쿠키(Cookie), 세션(Session) 관련
·
창고/기초지식
간단 정리 공통점 : 웹 통신간 어떠한 상태나 데이터(정보)를 유지 및 저장하기 위해 사용됨 ( ex 로그인 정보 ) 차이점 : 저장위치, 저장형식, 용량제한, 만료시점 등 쿠키(Cookie) 세션(Session) 저장 위치 클라이언트(= 접속자 PC) 웹 서버 저장 형식 text Object 만료 시점 쿠키 저장시 설정 (브라우저가 종료되도, 만료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자동 삭제되지 않음) 브라우저 종료시 삭제 (기간 지정 가능) 사용하는 자원(리소스) 클라이언트 리소스 웹 서버 리소스 용량 제한 총 300개 하나의 도메인 당 20개 하나의 쿠키 당 4KB(=4096byte) 서버가 허용하는 한 용량제한 없음. 속도 세션보다 빠름 쿠키보다 느림 보안 세션보다 안좋음 쿠키보다 좋음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..
[ SPRING ] The absolute uri: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 에러
·
창고/버그버그 👀
에러 : 심각: Servlet.service() for servlet [jsp] in context with path [] threw exception [The absolute uri: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 cannot be resolved in either web.xml or the jar files deployed with this application] with root cause org.apache.jasper.JasperException: The absolute uri: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 cannot be resolved in either web.xml or the jar files deployed with thi..
프로토콜[Protocol]이란? - 정의, 기본 요소, 종류, 기능
·
창고/기초지식
프로토콜[Protocol]이란?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끼리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.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. ( 기기끼리 대화하기 위한 소통 약속 )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[Syntax] :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[Format], 부조화[Coding], 신호 레벨[Signal Level]등을 규정 의미[Semantics] :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[Timing] :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,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프로토콜 종류 [OSI 7 계층] 계층 역할 프로토콜 응용[Application] -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..
HTTP란 무엇인가?
·
창고/기초지식
1. 정리이유 HTTP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때, 개발할때 클라이언트쪽과 서버가 정보를 교환하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이라는 정도로 두루뭉실하게 알고있어서 좀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정리한다. 2.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란?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. 정해진 규약이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. HTTP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을 연 다음 응답을 받을 때까지 대기하는 전통적인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따른다.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이며, 이는 서버가 두 요청 간에 어떠한 상태나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. (상태를 유지하기 ..